“연공보다 능력”… 젊은 과장 발탁 붐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연공보다 능력”… 젊은 과장 발탁 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울신문 작성일10-07-19 09:59 조회3,448회 댓글0건

본문

정부 부처에 기수 파괴 바람이 거세다. 4년 만에 과장에 발탁된 경우도 있고, 주요 부서에 30~40대 과장들이 배치되고 있다. 이들은 평균적인 승진 연한이나 행정고시 동기들보다 훨씬 빨라 주위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특채나 특별승진이 늘어난 것도 요즘 공직사회의 새로운인사 패턴이다


 


18일 관련부처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직속기관인 국립환경과학원에 신설된 수질통합관리센터 과장에 경력 4년차인 김경현 연구관을 발탁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이는 환경부 역사상 최단기 과장 승진 사례이다.


신임 김 과장은 부산대학교 환경공학과를 나와 미 일리노이대학에서 하천수리학과 수질예측 모델링 분야 학위를 취득한 후 위스콘신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2006년 연구관으로 특채된 이후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제도와 4대강 수질예측 모델링 등의 업무를 수행해왔다. 통상 과장으로 승진하는 데 10년에서 20년까지 걸리는 기관 특성상 이번 승진인사는 일선 연구직 공무원에게 큰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연공서열 중심의 관행에서 탈피, 앞으로는 철저히 연구 성과와 능력 중심으로 승진시키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초특급 승진은 이만의 환경부 장관의 작품이다. 이 장관은 전문성이 필요한 신설기구 책임자는 무엇보다 능력과 실적에 따라 발탁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하지만 환경부 내부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인사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국토해양부는 최근 4대강살리기 추진본부 홍보2팀장에 허만욱(행정고시 44회)서기관을 임명했다. 2001년 공직생활을 시작했고 나이는 38세로 동기 중에서 유일하게 과장을 달았다. 허 팀장은 지난해 4대강 살리기 본부에서 홍보업무를 맡았고, 홍보2팀을 신설하면서 팀장으로 발탁됐다. 본부 과장이 보통 32~39회인 것과 비교하면 크게는 10년이나 빠른 승진이다.

조달청은 30~40대의 젊은 과장 3명을 주요부서에 전진 배치했다. 이재용(41·행시 38회) 원자재총괄과장, 김응걸(36·행시 41회) 원자재비축과장, 강신면(42·행시 41회) 행정관리담당관 등이 주인공이다. 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해 연공서열을 탈피하고 능력이 뛰어난 인재를 적극 활용한다는 노대래 청장의 인사 스타일의 최대 수혜자로 꼽힌다.

지식경제부의 김영삼(행시 33회), 정승일(33회) 국장은 동기보다 2년 정도 빨리 국장 승진에 성공했다. 김 국장은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에 파견되면서 동기 가운데 가장 빨리 국장 직급을 달았다. 정 국장도 코트라 산하 인베스트코리아에 파견되면서 김 국장과 함께 승진했다. 김범수(45회) 서기관도 깔끔한 일솜씨로 공직생활 7년 만에 서기관 승진에 성공했다.

앞서 노동부는 지난달 29일 7급 이하 공무원 30명을 선발해 한 계급씩 특별승진시켰다. ‘고용노동부’로 개칭을 앞두고 우수 인재를 일찍 발굴, 핵심인력으로 키운다는 복안에서 이뤄진 것으로 공직사회에는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졌다.

행안부 관계자는 “연공서열에 의한 승진보다 업무능력과 전문성 등으로 인재를 발굴하는 파격인사를 권장하고 있다.”면서 “부처별 상황과 기관장의 스타일에 따라 승진 속도를 달리하면 선의의 경쟁을 유도해 조직에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59124) 전남 완도군 청해진 남로 51 TEL: 061-550-5890 FAX: 061-560-5879
Copyright 2006 완도군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 reserved.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