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9 to 6’ 등식 깨졌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울신문 작성일12-07-13 09:23 조회2,88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하루 10시간·주 50시간 이상 근무한다는 연구보고서가 나왔다. 주 40시간 법정시간제나 ‘오전 9시 출근, 오후 6시 퇴근’ 복무규정’ 등식이 깨졌다는 것이다.
조성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이 중앙부처 공무원 303명, 18개 공공기관 종사자 308명 등 611명의 근로실태를 조사한 ‘공공부문 사무직의 근로시간 실태와 개선 방향’ 보고서 내용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부문 종사자들은 평균 오전 8시 24분에 출근, 오후 7시 49분에 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심시간을 빼더라도 하루 근무시간이 10시간을 넘었다. 야근은 주 3회 한다는 응답이 26.4%, 주 2회가 20%로 나타났다. 야근 횟수와 평균 초과근무시간, 조기출근 등을 고려하면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하루 평균 초과근로시간은 1.39∼2.4시간, 주당 근로시간은 휴일근로를 제외하더라도 49∼52시간으로 국제적 장시간 근로 기준인 주 48시간을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간 외 근무의 원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복수응답) ‘관련기관의 급박한 자료 요구’가 64.5%로 가장 많았다. ‘인원부족으로 인한 업무 가중’(52.2%), ‘동료부담 우려 휴가 자제’(38.8%) 등의 순이었다. ‘시간외근로수당 수입이 중요’하다는 항목도 34.8%나 됐다. 근로시간 행태를 유형화한 결과에서도 공무원의 17.2%, 공기업 종사자의 5.5%는 ‘잔업수당 취득형’으로 분류돼 수당을 목적으로 자리를 지키는 행태가 일부 남아 있었다. 조위원은 “은행이나 제조업 근로자들보다는 짧게 일하지만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와 ‘일·생활 양립’ 방향을 위해서는 공공부문부터 선도·모범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성재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이 중앙부처 공무원 303명, 18개 공공기관 종사자 308명 등 611명의 근로실태를 조사한 ‘공공부문 사무직의 근로시간 실태와 개선 방향’ 보고서 내용이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부문 종사자들은 평균 오전 8시 24분에 출근, 오후 7시 49분에 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심시간을 빼더라도 하루 근무시간이 10시간을 넘었다. 야근은 주 3회 한다는 응답이 26.4%, 주 2회가 20%로 나타났다. 야근 횟수와 평균 초과근무시간, 조기출근 등을 고려하면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하루 평균 초과근로시간은 1.39∼2.4시간, 주당 근로시간은 휴일근로를 제외하더라도 49∼52시간으로 국제적 장시간 근로 기준인 주 48시간을 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시간 외 근무의 원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복수응답) ‘관련기관의 급박한 자료 요구’가 64.5%로 가장 많았다. ‘인원부족으로 인한 업무 가중’(52.2%), ‘동료부담 우려 휴가 자제’(38.8%) 등의 순이었다. ‘시간외근로수당 수입이 중요’하다는 항목도 34.8%나 됐다. 근로시간 행태를 유형화한 결과에서도 공무원의 17.2%, 공기업 종사자의 5.5%는 ‘잔업수당 취득형’으로 분류돼 수당을 목적으로 자리를 지키는 행태가 일부 남아 있었다. 조위원은 “은행이나 제조업 근로자들보다는 짧게 일하지만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와 ‘일·생활 양립’ 방향을 위해서는 공공부문부터 선도·모범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